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48

DBMS개요 1.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- 데이터베이스를 '데이터의 집합' 이라고 정의한다면 DBMS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, 운영하는 역할을 한다. -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. 1) 정의 -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이다. 1. 통합된 데이터(Integrated Data) :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이다. 2. 저장된 데이터(Stored Data) :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이다. 3. 운영 데이터(Operational Data) :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. 4. 고용 데이터(Shar.. 2022. 8. 2.
IPv4, ICMP(3계층) -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 - # IPv4 프로토콜 1. IPv4가 하는 일 -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-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. -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.(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됨) -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. 2. IPv4의 구조 - Version : IPv4의 Version 정보가 들어간다. => 4, 4bit - IHL : 헤더의 길이가 들어가는데 4bit 크기이므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가 15가 최대이다 그러므로 최대 길이를 4로 나눠서 들어가게 된다. - TOS : 지금은 쓰이지가 않아서 0으로 비워둔다. 원래는 .. 2022. 6. 15.
ARP프로토콜(3계층) - ARP 프로토콜 - 1. ARP가 하는 일 -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. -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는 알고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. - 컴퓨터가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. - Sender(Source) Hardware Address 출발지의 MAC 주소, Sender(Source) Protocol Address 출발지의 IPv4의 주소 - Target(Destination) Hardware Address 목적지의 MAC 주소, Target(Destination).. 2022. 6. 10.
네트워크의 3계층 - 3계층 - 1. 3계층의 기능 # 3계층에서 하는 일 -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,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-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 - 서로다른 LAN을 연결 시켜주는 역할 # 3계층에서 쓰는 주소 -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 주소 - 멀리 있는곳과 통신을 하기위해선 최소한 IPv4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주소가 필요하다. * 서브넷 마스크 * 클래스풀한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*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(1)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(0)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지 지정 * 32bit 4바이트 *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시작, 1과 1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을 .. 2022. 6. 3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