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네트워크

ARP프로토콜(3계층)

by 요섹남 2022. 6. 10.

- ARP 프로토콜 -

1. ARP가 하는 일

-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.

-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는 알고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.

- 컴퓨터가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.

ARP 프로토콜의 구조 28byte로 이루어져 있다.

- Sender(Source) Hardware Address 출발지의 MAC 주소, Sender(Source) Protocol Address 출발지의 IPv4의 주소

- Target(Destination) Hardware Address 목적지의 MAC 주소, Target(Destination) Protocol Address 목적지의 IPv4의 주소

- Hardware type : 2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타입 (이더넷 프로토콜이 온다 0 0 0 1)

- Protocol type : IPv4 프로토콜의 타입인 0 8 0 0 이 온다.

- Hardware Address Length : MAC주소의 길이 6byte

- Protocol Address Length : IPv4 주소의 길이 4byte

- Opcode : 어떻게 동작하는지 나타내주는 코드 2개만 존재 (요청을 하는지(1), 응답을 하는지(2))

 

2. ARP 프로토콜의 통신 과정

# IP 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오는 과정

- 출발지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는 비우고 브로드 캐스트로 모두에게 보냄

- 브로드 캐스트로 받은 컴퓨터들은 목적지 IP 주소가 자신과 일치하는지 확인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패킷을 버림

- 목적지 IP 주소가 같은 컴퓨터는 자신의 MAC 주소 출발지 주소에 넣고 목적지 주소에 처음 보냈던 컴퓨터에게 다시 응답으로 보냄.

- 중간에 있는 스위치가 이더넷만 확인하고 맞는 컴퓨터에게 보낸다.

- 처음 보냈던 컴퓨터에서 궁금했었던 MAC 주소를 ARP 캐시 테이블에 입력을하여 저장한다.

- 최초 통신 1회는 이과정이 한번 거치고 일어난다.

캐시 테이블에 담겨져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
# 특징

-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일어난다. (브로드캐스트의 이유)

- MAC 주소를 모르기 때문이다.

- 3계층이다.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v4, ICMP(3계층)  (0) 2022.06.15
네트워크의 3계층  (0) 2022.06.03
네트워크의 2계층  (0) 2022.06.02
네트워크 모델  (0) 2022.06.02
네트워크란 무엇인가?  (0) 2022.06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