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/데이터형과 연산자2

Operator 1. 연산자 - 연산자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호(+, -, *, / 등)로 피연산자와 함께 사용 * 피연산자 : 연산자의 작업 대상 - 연산자의 종류 * 단항 연산자 : +, - , ++, --, ~, ! * 증감연산자(++, --) * 부호연산자(+, -), 논리 부정연산자(!) * 부호연산자 : + 는 피연산자에 * 1, - 는 피연산자에 * -1 * 논리부정연산자( ! ) :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변환 * 비트전환연산자( ~ ) * 2진수로 변환 후 0을 1로, 1을 0으로 변환 한다(보수형태) * 타입변환연산자 * 이항 연산자(산술, 비교, 논리) * (byte, char, short)의 연산 시 결과는 int로 바뀜 *시프트연산자 : , >>> * > : 이진수를 .. 2021. 11. 23.
Data Type 1. 변수, 상수, 리터럴 - 변수 :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- 상수 : 한 번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- 리터럴 : 그 자체로의 값 (정수의 기본형은 int, 실수의 기본형은 double, 기본형의 범위를 초과하는 데이터를ㄹ 선언시에는 리터럴 접미사를 붙여서 표현 ex) float f = 3.14f; long l = 100000000L; 2. 명명 규칙 - 명명 규칙에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과 권고 되는 것으로 나뉘지만, 협업을 위해서는 지킬 수 있도록 하는게 좋다. - 변수명과 메소드명은 항상 소문자로 시작 - 두 단어의 조합으로 구성된 변수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 ex) dataType, myPassword (이것을 camelCase 라고 칭함) - 상수는 변수와의 구분을 위.. 2021. 11. 23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