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네트워크 모델 -
1.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
# TCP/IP 모델
- 실제로 구현된 모델(먼저 나옴)
- 4계층(Network Interface를 Network Interface와 Physical로 나누면 5계층)
- 연결형(Connection Oriented)서비스, 비연결성(Connectionless)서비스 둘 다 제공한다.
- 하나의 계층에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유연성을 가진다.
- 기본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.
# OSI 7계층
- ISO의 개방 시스템 연결 규약 참조 모델이다.
- 참조하는 개념적인 모델
- 7계층
- 연결형(Connection Oriented)서비스를 위주
- 복잡한 통신망의 상황변환에 유연하게 적응이 어렵다.
# 계층별 역할
1) 물리(Phsical) : bit신호를 물리적인 전송 매체로 전달, 배선, 커넥터 등과 같은 물리적 연결구조
2) 데이터 링크(Data-Link) : 물리적인 연결, 흐름 제어(Flow Control), 에러 제어(Error Control)
3) 네트워크(Network) : 라우팅,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송
4) 전송(Transport) : Process - Process간의 통신
5) 세션(Sesstion) : 프로그램 간 논리적인 연결
6) 표현(Presentation) : Encoding, Decoding, 암호, 압축, 데이터의 포맷 결정
7) 응용(Application) :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그 자체,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
# 공통점
-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
- 계층간 역할 정의
# 차이점
-계층의 수 차이
- OSI는 역할 기반, TCP/IP는 포로토콜 기반
-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
- TCP/IP는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
2.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, 패킷
# 패킷이란?
-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
-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
- 제어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(페이로드)로 이루어진다.
"누가 누구에세 어떻게 어디로 같은 정보들이 패킷안에 들어있다."
# 패킷의 구성
1) 헤더
- 대부분 헤더를 사용
2) 페이로드
- 실질적으로 보내는 데이터
3) 풋터
- 잘사용하지 않음
# 캡슐화
- 여러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최종적으로 보낼 때 패킷을 만드는 과정
- 하위 프로토콜 앞에 상위 프로토콜이 올수 없다.
# 디캡슐화
- 패킷을 받았을 때 하위 프로토콜 부터 하나씩 양식을 확인하면서 상위 프로토콜로 올라가면서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한다.
# 계층별 패킷의 이름 PDU(Protocol Data Unit)
- 계층별로 이름이 다른 PDU
- 4계층의 PDU = 세그먼트
- 3계층의 PDU = 패킷
- 2계층의 PDU = 프레임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Pv4, ICMP(3계층) (0) | 2022.06.15 |
---|---|
ARP프로토콜(3계층) (0) | 2022.06.10 |
네트워크의 3계층 (0) | 2022.06.03 |
네트워크의 2계층 (0) | 2022.06.02 |
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(0) | 2022.06.01 |